[플래너 없는 웨딩준비] 웨딩밴드 - 종로 발품팔이 중 나도 모르던 취향 발견 (동화주얼리 후기)

안녕하세요, 예식까지 9개월정도 남은 예비신부입니다. 저는 플래너 없이 모든 단계를 스스로 찾아다니며 결혼 준비를 하고 있어요. 어제 웨딩밴드를 계약했는데 괜찮은 가게를 알게 되어서 후기 작성합니다. 가성비 하면 종로 - 종로 귀금속 거리 탐방 저희는 원래 악세사리를 좋아하지 않아서 다른 예물은 모두 생략하고 웨딩밴드만 하기로 했어요. 유명 브랜드는 불필요한 서비스 비용이 많이 껴있다고 생각해서 저희한테는 불필요해서 패스, 또 특별히 커스텀한 디자인을 원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청담 샵도 패스, 바로 종로로 갔어요. 종로 한 거리가 전체가 '종로 귀금속 거리' 라고 이름이 붙어있는데 가보시면 정말 어마어마합니다(정신이 아득해지죠) 하루 날 잡고 저 중에서 몇 군데를 예약 상담했지만, 최종적으로 동화주얼리..

재테크 2024.01.21 1

안드로이드 개발자 면접 준비 : 안드로이드 아키텍쳐 기본 원칙 (2)

원칙 2. 데이터 모델에서 UI 도출하기(Drive UI from data models) 안드로이드 컴포넌트와는 독립적인 데이터 모델을 선언해 앱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UI 를 해당 모델로부터 도출하라는 원칙입니다. 데이터 모델은 UI 및 앱 구성 요소 라이프사이클에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OS가 메모리에서 앱의 프로세스를 제거하기로 결정하면 여전히 삭제됩니다. 데이터 모델에서 UI 도출하기 원칙을 지켰을 때의 장점 안드로이드 OS가 리소스를 확보하기 위해 앱을 파괴해도 사용자는 데이터를 잃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앱이 계속 작동합니다. 원칙 3. 단일 소스 저장소(Single source of truth) 앱에 새로운 데이터가 필요하면, SSOT원칙을 적용해서 선..

안드로이드 개발 2023.09.06 0

시니어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 역량 - '육각형 개발자' 책 리뷰 - 2

설계 역량 : 변화에 대응하기 좋은 구조를 짤 수 있는가 5. 응집도와 결합도 높은 응집도와 낮은 결합도를 추구해야 한다는 것의 구체적인 의미. 응집도 : 한 기능과 관련된 코드는 한곳에 모여 있어야 한다(구분되는 기능은 서로 다른 곳에 분리되어야 한다.) 응집도가 높아야 하는 이유? 수정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응집도가 높을수록 구성 요소가 각 역할에 따라 분리될 가능성이 크고, 그럴수록 수정해야할때 변경 범위가 좁아진다. 응집도를 높이는 방법 : 캡슐화. 데이터에 대한 직접 접근을 최소화해서 구현을 감추고 외부에 기능을 제공한다. 결합도 : 소프트웨어 모듈이 서로 의존하는 정도. 구성 요소 간 상호 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구체적인 구현에 대한 의존을 줄여야 한다. 결합도를 낮추는 방법 : 추상화 타입..

개발자의 노하우 2023.09.06 0

시니어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 역량 - '육각형 개발자' 책 리뷰 - 1

육각형 개발자 - 최범균 저 1. 들어가며 개발 ⊃ 코딩 개발은 코딩과 동의어가 아니며, 개발은 코딩 외적인 활동들이 포함되는 더 큰 개념이다. 개발의 핵심은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기능을 만들어서 가치를 창출하는 것. 이 책에서 다루는 역량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범주에 속한다. 구현 기술 설계 역량 업무 관리, 요구 분석, 공유, 리드&팔로우 구현 기술 :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가장 기초 역량 2. 구현 기술과 학습 어떤 기준으로 구현 기술을 선택하고 학습해야 하는가 현재 사용 중인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특정 구현 기술에 상관 없는 CS의 기초 지식은 반드시 습득하고 있어야 한다.(HTTP프로토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초, 동시성 처리, 프로그래밍 언어 등) 신규 구현 기술 도입의 기..

개발자의 노하우 2023.09.03 1

안드로이드 개발자 면접 준비 : 안드로이드 아키텍쳐 기본 원칙 (1)

구글에서 공식적으로 추천하는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쳐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기록합니다. 아키텍쳐란 안드로이드 앱은 유저와의 인터렉션을 담당하는 화면, 네트워크 통신, 받은 데이터를 가공하는 복잡한 연산 로직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코드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키텍쳐란 이 코드 조각들을 어떤 식으로 분류하고 관리할지를 설계하는 것입니다. 추상적인 개념이라서 처음엔 막막하게 느껴질수도 있겠지만 다행이도 그동안 많은 컴퓨터 과학자들이 연구해 온 아키텍쳐의 기본 원칙을 먼저 익힌다면 개발 실무에서 충분히 좋은 아키텍쳐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원칙 1. 관심사 분리 (Separation of concerns) 이 원칙은 가장 중요하고 다행이도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결국은 한 곳에서 너..

안드로이드 개발 2023.06.21 0